한 차트에서 **“지금 막 시작된 추세”**만 선별해 타는 일은 생각보다 어렵습니다. 이동평균 교차는 때론 너무 늦고, 순수 모멘텀 지표는 횡보장에서 휩소가 잦습니다. **Vortex Indicator(보텍스 지표, 이하 VI)**는 가격의 **방향성 이동(Trending Move)**을 구조적으로 측정해 새로운 방향의 에너지가 커지는 순간을 포착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. 핵심은 간단합니다. **상승 방향 이동(Up Move)**과 **하락 방향 이동(Down Move)**을 각각 누적해서 어느 쪽의 힘이 우세한지를 지수화하고, 두 곡선(VI+·VI−)의 교차와 확장으로 추세 전환을 읽는 것입니다. 이 글에서는 (1) VI의 원리와 계산, (2) 진입·청산·필터를 갖춘 실전 시스템, (3) 백테스트·리스크·운용 프레임을 차례로 제시합니다. 표·체크리스트·예시를 포함하여 초보자도 같은 기준으로 같은 판단을 반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.
1) 지표의 원리와 계산: VI+·VI−로 읽는 방향성 이동의 힘
Vortex Indicator는 **방향성 이동(Trend Movement)**을 수치화합니다. 개념적으로는 당일 고가와 전일 저가 사이의 거리(상승 방향 이동, VM+VM^+)와 당일 저가와 전일 고가 사이의 거리(하락 방향 이동, VM−VM^-)를 기간 nn 동안 누적해, 같은 기간의 **진정한 범위(ATR 유사, True Range 합)**로 나눕니다. 이렇게 하면 가격이 어느 방향으로 더 멀리, 더 지속적으로 이동했는지가 선명해집니다.
- 방향성 이동량(하루 기준)
- VMt+=∣Hight−Lowt−1∣VM^+_t = |High_t - Low_{t-1}|
- VMt−=∣Lowt−Hight−1∣VM^-_t = |Low_t - High_{t-1}|
- 진정한 범위(하루 기준)
- TRt=max{Hight−Lowt, ∣Hight−Closet−1∣, ∣Lowt−Closet−1∣}TR_t = \max\{High_t - Low_t,\ |High_t - Close_{t-1}|,\ |Low_t - Close_{t-1}|\}
- 기간 nn 누적치
- ∑VM+=∑i=t−n+1tVMi+,∑VM−=∑i=t−n+1tVMi−\sum VM^+ = \sum_{i=t-n+1}^{t} VM^+_i,\quad \sum VM^- = \sum_{i=t-n+1}^{t} VM^-_i
- ∑TR=∑i=t−n+1tTRi\sum TR = \sum_{i=t-n+1}^{t} TR_i
- 지표 값
- VIt+=∑VM+∑TR,VIt−=∑VM−∑TRVI^+_t = \dfrac{\sum VM^+}{\sum TR},\quad VI^-_t = \dfrac{\sum VM^-}{\sum TR}
해석의 핵심은 두 곡선의 **교차(crossover)**와 **확장(expansion)**입니다.
- 상승 시나리오: VI+VI^+가 VI−VI^-를 아래에서 위로 교차하고, 교차 이후 VI+VI^+가 1.0 이상에서 확장(상승)하면 상승 방향 이동이 시장을 주도한다는 신호로 봅니다.
- 하락 시나리오: 반대로 VI−VI^-가 VI+VI^+를 위로 돌파하고 1.0 이상에서 확장하면 하락 주도가 강화된 것으로 해석합니다.
- 횡보/애매한 구간: 두 곡선이 빈번하게 교차하거나 동시에 1.0 이하에서 엇비슷하게 움직이면 추세 에너지가 약함을 시사합니다.
기간 nn 값은 보통 14를 많이 쓰지만, 7~21 사이에서 종목 특성·타임프레임에 맞게 조정합니다. 짧을수록 민감해져 초기 신호를 빨리 잡지만 휩소 위험이 커지고, 길수록 반응이 느려지는 대신 신뢰도가 상승합니다. 튜닝할 때는 한 번에 하나의 변수만 바꾸고, 테스트 구간을 분리한 워크포워드 방식으로 과최적화를 피하세요.
다음 표는 VI와 다른 추세 지표의 관점 차이를 압축 비교한 것입니다.
VI(Vortex) | 방향성 이동의 상대 우위(VI+ vs VI−) | 추세 초입 감지, 단순·직관 | 횡보장 휩소 | EMA50/200, RSI50, 거래량 20MA |
ADX | 방향성 강도(방향 無) | 추세 강도 확인에 탁월 | 방향성 해석 별도 필요 | VI·MACD와 조합 |
MACD | 모멘텀(EMA 차이) | 추세 변화 시각화 | 저변동·횡보에 취약 | VI·거래량 필터 |
Supertrend | ATR 기반 트레일링 | 추세 추종·스톱 명확 | 초기 신호 다소 늦음 | VI·RSI 50선 |
실전에서는 가격 구조(스윙 고점/저점, 박스 상·하단, 추세선)와 거래량을 동시에 봐야 신뢰도가 급상승합니다. 예를 들어 박스 상단 돌파 종가 유지와 함께 VI+VI^+가 VI−VI^-를 교차하고 확장된다면, 단순한 “한 번의 돌파”가 아니라 새로운 추세의 시작일 확률이 큽니다. 반대로 돌파 직후 되메움 음봉이 나오고 VI+VI^+가 1.0 아래로 내려앉으면 가짜 신호일 수 있으니 진입을 늦추거나 축소하는 편이 안전합니다.
2) 진입·청산·필터 전략: 재현 가능한 룰로 휩소 줄이기
VI는 교차 순간이 분명해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지만, **“교차=즉시 진입”**으로 고정하면 횡보장에서 손실이 쌓이기 쉽습니다. 아래는 필터와 운영 규칙을 갖춘 룰 기반 템플릿으로, 주식·지수·코인 등 대부분의 시장에 그대로 이식 가능합니다(설명은 롱 기준).
① 진입 체크리스트(롱)
- 교차: VI+VI^+가 VI−VI^-를 아래→위로 교차.
- 확장/임계값: 교차 후 VI+≥1.0VI^+ \ge 1.0 유지 또는 상승 기울기.
- 상위 추세: 종가가 EMA50 이상(EMA200 이상이면 가점).
- 모멘텀: RSI(14) ≥ 50(55~60이면 우수).
- 거래량·변동성: 거래량 20MA 이상 또는 ATR이 20일 평균 이상.
→ 4개 이상 충족 시 1차 진입, 5개 충족 시 표준(또는 풀) 진입. 3개 이하면 대기.
② 손절·청산·재진입 규칙
- 하드 스톱: 진입봉 저가 − 1ATR 또는 가격이 EMA50 종가 이탈 시.
- 부분 청산: R:R 1:1 도달 시 30~50% 청산, 잔량은 추세 추종.
- 전체 청산(롱): VI−VI^-가 VI+VI^+를 상향 교차 + VI+VI^+가 1.0 아래로 하락 or Supertrend/EMA50 하향 이탈 종가.
- 재진입: 교차 이후 첫 **눌림(EMA20/밴드 근처)**에서 VI+VI^+ 재확장 + 전일 고가 돌파 시 소량 재진입.
③ 시나리오별 운영 예시
- 깨끗한 돌파: 박스 상단 돌파 종가 유지 + VI+VI^+ 교차/확장 → 다음 날 시가~첫 눌림 분할 진입 → R:R 1:1 부분 청산 → VI 우위 유지 시 홀딩.
- 갭 돌파: 갭 당일은 관망 → 다음 봉 EMA20 근처 눌림에서 VI+VI^+ 1.0 유지/확장 확인 후 진입.
- 횡보 휩소: 교차 잦고 VIVI가 1.0 부근에서 엇갈리면 사이즈 축소 or 스킵, nn 확대(14→21)로 민감도 완화.
④ 실행 요약표
트리거 | VI+VI^+가 VI−VI^- 상향 교차 | 교차 후 1.0 이상 유지·확장 확인 |
상위 추세 | EMA50↑(EMA200↑ 가점) | 레짐 필터 |
모멘텀 | RSI ≥ 50(55~60 우수) | 가짜 돌파 필터 |
거래량/ATR | 20MA 이상/평균 이상 | 신뢰도 가중치 |
손절 | 저가−1ATR or EMA50 이탈 | 즉시 실행 |
부분 청산 | R:R 1:1 | 30~50% 현금화 |
재진입 | 첫 눌림 + VI+VI^+ 재확장 | 소량·분할 권장 |
⑤ 실패 패턴과 회피법
- 뉴스성 갭 후 되메움: 처음엔 VI+VI^+가 급등해도, 되메움으로 1.0 아래 재진입하면 가짜 신호일 가능성. → 종가 유지·다음 봉 재확장 확인.
- 상위 프레임 역행: 주봉이 약세(EMA50 아래·VI− 우위)인데 일봉만 교차하면 단기 반등일 수 있음. → 포지션 절반.
- 거래량/ATR 급감: VI 교차가 나와도 에너지가 빈약. → 관망 or 소액.
- 초타이트 스톱: ATR 무시한 좁은 스톱은 반복 손절 유발. → 1ATR 기준 유지.
3) 백테스트·리스크·실전 운용: 데이터로 검증하고 규칙대로 움직이기
전략의 성능은 룰로 시작해 검증으로 강화되고 운용으로 완성됩니다. 아래 절차를 통과하면 VI 전략을 자신의 언어로 만들 수 있습니다.
① 백테스트 설계
- 자산/기간: 주식 5년+, 선물·코인 2~3년+ 데이터.
- 시장 분할: 상승/횡보/하락 구간으로 나눠 성능을 환경별로 측정(승률, PF, MDD, 연속 손실).
- 룰 고정: 2장에서 정의한 교차·필터·손절·청산을 사전 고정하고 테스트(룰 후변경 금지).
- 변수 탐색: n∈{10,14,21}n\in\{10,14,21\}, EMA50/200 조합, RSI 필터 ON/OFF 등 한 번에 하나씩 변경.
- 비용 반영: 수수료·슬리피지를 보수적으로 입력.
- 워크포워드: 기간을 나눠 학습/검증 구간을 분리, 과최적화 방지.
- 리밸런싱: 분기/반기마다 성능 재평가 → 룰 단순화 우선.
② 리스크·심리 운영 수칙
- 1회 R(위험): 계좌의 1~2%. 신호 품질이 높아도 과대배팅 금지.
- 동시 보유: 상관성 높은 종목은 합산 리스크로 관리(같은 섹터는 묶어서 1종).
- 연속 손실 브레이크: 3회 연속 손실 시 48시간 휴식 + 체크리스트 재점검.
- 거래 일지: 진입·청산 스크린샷, 체크리스트 점수(0~5), 감정 상태(조급/중립/확신).
- 트레일링: Supertrend/EMA20·50 기반 기계적 운영으로 감정 개입 최소화.
③ 실전 체크리스트(프린트 추천)
레짐 | 가격이 EMA50·200 위(롱)인가? | |
VI 트리거 | VI+↑VI^+\uparrow 교차 발생했는가? | |
임계/확장 | VI+≥1.0VI^+ \ge 1.0 유지·확장 중인가? | |
모멘텀 | RSI ≥ 50(권장 55~60)인가? | |
거래량/ATR | 20MA 이상 거래량 or 평균 이상 ATR인가? | |
손익비 | R:R ≥ 1:1.5 이상 확보 가능한가? | |
스톱 | 1ATR 하드 스톱이 합리적인가? |
④ 흔한 실수와 해결책
교차=즉시 진입 | 횡보장 손실 누적 | EMA/RSI/거래량 필터 2개 이상 동시 충족 |
ATR 무시 | 초타이트 스톱 → 반복 손절 | 1ATR 기준 or EMA50 이탈 종가 스톱 |
갭 추격 | 되메움 고점 매수 | 다음 봉 첫 눌림에서 VI 재확장 확인 |
변수 난사 | 과최적화 | 한 번에 하나 변경 + 워크포워드 |
부분 청산 생략 | 수익 변동성 확대 | R:R 1:1에서 30~50% 현금화 |
⑤ 튜닝 가이드(요약)
- 민감도 높이기: n↓n\downarrow (14→10), 하지만 필터 강화(RSI/EMA/거래량).
- 휩소 줄이기: n↑n\uparrow (14→21) + 상위 프레임(주봉) 레짐 필터.
- 변동성 큰 자산: ATR 평균 이상일 때만 진입, 스톱은 1.2~1.5ATR로 완충.
- 데이 트레이딩: 60분 레짐 + 5~15분 타이밍(첫 눌림·재확장).
FAQ
Q1. VI의 기본 기간은 14가 정답인가요?
A1. 정답은 없습니다. 10·14·21을 대표 후보로 두고 한 번에 하나씩 변경해 워크포워드로 검증하세요.
Q2. 1.0 임계값은 꼭 써야 하나요?
A2. 강제는 아니지만, 교차 직후 1.0 이상 유지·확장은 신호 품질을 높여 줍니다. 종목별 과거 데이터로 맞춤 임계값을 구해도 좋습니다.
Q3. ADX와 함께 쓰면 어떤가요?
A3. 매우 좋습니다. ADX가 일정 수준 이상(예: 20~25)에서 상승하는 동안 VI+ 우위가 유지되면 추세 강도+방향이 함께 확인됩니다.
Q4. 코인·선물에도 적용되나요?
A4. 적용됩니다. 다만 변동성이 크므로 스톱을 하드로 두고, 이벤트 전후에는 사이즈 축소를 권합니다.
Q5. 갭으로 교차가 났는데 바로 밀립니다.
A5. 갭 당일 추격보다 다음 봉 첫 눌림에서 VI+ 재확장과 종가 유지를 확인한 뒤 분할 진입하세요.
Q6. 신호가 너무 적어지는데 괜찮나요?
A6. 품질 vs. 빈도의 균형 문제입니다. 기여도가 낮은 필터를 줄이고, 레짐 필터 + 한두 개 핵심 필터만 남기는 단순화를 시도하세요.
Q7. 포지션 관리 핵심 하나만 꼽는다면?
A7. 부분 청산 + 트레일링입니다. R:R 1:1에서 일부 현금화 후, EMA/밴드 추적으로 큰 추세를 노리세요.